지난 글
Docker-compose로 1차 배포 하기: https://cooookieeee.tistory.com/8
진행사항
Cluster 생성을 eksctl로 진행할 예정이며, Cluster 생성 및 Main Board 역할(kubectl)을 위해
EC2를 새로 대여하도록 한다.
< EKS Cluster 생성하기>
1. aws-cli를 설치하고, aws configure 설정을 완료한다. ( IAM에 EKS 관련 권한 필)
2. ekscli를 설치한다.
3. ekscli를 통해 cluster를 생성한다.( 시간 오래 걸림)
- EXAMPLE :eksctl create cluster --name test-cluster --version 1.22 --region ap-northeast-1 --nodegroup-name linux- nodes --node- type t3.medium --nodes 3
4. kubectl을 설치하고 kube config를 수정한다. (이 때 cluster의 kubernetes version과 맞추어 설치하도록 한다.)
< ECR Repository 생성 및 등록하기>
Instance에 aws configrue 통해서 IAM user 인증이 되어 있어야 한다.
1. ECR에 들어가 Repository를 생성한다. (Public란에 체크)
2. View push command 버튼을 누른다. 그뒤에 맨 위 복사란을 눌러서 인증을 완료한다.(root user로 들어가 있어야함)
3. Image에 push할 name을 태깅한다.(이 때 tag 앞의 image name은 고정 뒤 version만 수정한다.) 후에 docker push로 push를 진행한다.
4. ECR repository에 이미지가 잘 push되었는지 확인한다.
결과
<Cluster>
REF
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concepts/workloads/controllers/deployment/
-쿠버네티스 공식 document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cli/latest/userguide/getting-started-install.html
-aws cli
https://seongjin.me/kubernetes-service-types/
-k8s services
https://twofootdog.tistory.com/82
-kube config 수정
'융복합 프로젝트 PZO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PZONE 프로젝트> 8. EKS Cluster Autoscaling 적용하기 (0) | 2023.02.21 |
---|---|
<PZONE 프로젝트> 7. Docker -> Kubernetes 배포환경 Migration하 (0) | 2023.02.21 |
<PZONE 프로젝트> 5. Docker-compose로 1차 배포 하기 (0) | 2023.02.20 |
<PZONE 프로젝트> 4. Django환경에서 Model로 request하기 (0) | 2023.02.20 |
<PZONE 프로젝트> 2. EC2 대여 및 Docker 환경 구축 (0) | 2023.0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