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/Ansible

1. Ansible이란

by 앙팡공기팡 2025. 3. 25.

 

 

목차:

 

1. Ansible이란?

2. Ansible의 특징

3. Ansible의 기본 역할

4. Ansible의 핵심 개념

5. Ansible의 실행 과정

 

 

 

 

 

[1, Ansible 이란?]

 

Ansible은 IT 자동화 오픈 소스 도구다.  에이전트(Agent) 없이 SSH를 통해 원격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점이 특징.

 

 

[ 2. Ansible의 특징 ]

 

{1} 에이전트리스 방식

 

{2} 멱등성

 

{3} 확장성

 

{4} 간단한 yml 방식

 

{5} 다양한 오픈 소스 및 OS 플랫폼 지원

 

 

[ 3. Ansible의 구성 ]

 

{1} Control Node: Ansible을 설치하여, Playbook 작성하고 Role을 기반으로 Inventory의 host들에게 자동화를 진행시킨다.

 

: SSH 통신

: 인벤토리 관리

: 모듈 실행

: 상태 검증

: Playbook 실행

 

{2} Managed Node: 기본적으로 Playbook의 task가 실행되는 host  

 

: 서비스 관리

: 패키지 관리

: 네트워크 관리

: 파일 관리 

 

 

[4. Ansible의 기본 역할]

 

{1.} 설정 자동화 : 방화벽 설정 또는 apt,yum 등의 설치 혹은 최신화 등등 서버 관리 자동화

 

{2.} 애플리케이션 배포 자동화: Gitlab , Jenkins 와 연동하여 CI/CD 자동화

 

{3.} 프로비저닝 자동화. AWS Azure GCP 등의 플랫폼과 연계하여 프로비저닝 자동화 가능

 

{4.} 서버 구성 자동화: 웹 서버 , DB 서버 등 서버 구성 자동화 가능

 

{5.} 오케스트레이션: Kubernetes와 같이 한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서버의 작업을 조정.

 

 

[5. Ansible의 실행 흐름 ]

 

{1.}  Ansible이 깔려있는 Control Node에서 Playbook을 실행

 

{2.}  Inventory 파일을 참고하여 Managed Node 리스트 불러오기

 

{3.}  Playbook의 모듈들을 토대로 임시 python task파일 생성 및 Managed Node에서 수행

 

{4.} Managed Node에서 task 수행 후 관련된 로그 Control Node로 반환

 

[6. Ansible의 수행 방법]

 

1. Ad-hoc 방식

 

2.Playbook 방식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공부 > Ansib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Ansible의 playbook 형식  (0) 2025.03.31
4. Ansible의 기본 명령어  (0) 2025.03.28
3. 에이전트리스 방식이란?  (0) 2025.03.27
2. Yaml 기본 문법  (0) 2025.03.27
카테고리 설명  (0) 2025.03.25